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김명수 (군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김명수는 대한민국의 군인으로, 현재 제44대 합동참모의장이다. 해군사관학교를 수석 졸업하고 해군에서 다양한 보직을 거쳐 해군작전사령관을 역임했다. 2023년 11월부터 합동참모의장직을 수행하고 있으며, 북한의 미사일 탐지 임무를 수행하며 대통령 표창을 받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김천고등학교 동문 - 정해창
    정해창은 서울대학교 법학과 수석 졸업 후 검사로 임용되어 법무부 장관을 두 차례 역임한 법조인 및 정치인으로, 변호사 활동과 사회 활동을 통해 법조계에 기여했으며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하기도 했다.
  • 김천고등학교 동문 - 이목희
    이목희는 서울대학교 출신의 정치인으로, 국제경제연구원 연구원, 한국노동연구소 소장 등을 역임하고 제17대와 제19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대한민국 해군 대장 - 황기철
    황기철은 해군 소위로 임관하여 해군작전사령관, 해군참모총장 등 주요 보직을 역임하고 아덴만 여명 작전을 지휘하여 보국훈장을 받았으며, 국가보훈처장을 역임 후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한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이다.
  • 대한민국 해군 대장 - 엄현성
    엄현성은 대한민국 해군의 예비역 대장으로, 해군 소위로 임관하여 해군참모총장 등 주요 보직을 역임하고 국방 개혁에도 기여했으며, 퇴역 후에는 석좌교수와 여러 협회 활동을 통해 후학 양성과 해군 발전에 기여하고 대통령표창과 보국훈장을 수훈했다.
  • 국민대학교 대학원 동문 - 김건희
    김건희는 윤석열 대한민국 제20대 대통령의 배우자로, 코바나컨텐츠 대표이사를 역임하고 여러 대학교에서 강사 및 겸임교수로 활동했으며, 대통령 배우자라는 호칭으로 불린다.
  • 국민대학교 대학원 동문 - 태영호
    태영호는 1962년 평양 출생으로 북한 외교관 출신이며, 2016년 영국 주재 북한 대사관 공사로 있다가 대한민국으로 망명하여 국회의원과 국민의힘 최고위원을 거쳐 현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처장으로 활동한다.
김명수 (군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24년 김명수
국적대한민국
출생일1967년
출생지경상북도 김천시
종교로마 가톨릭교회
학력
학사대한민국 해군사관학교
석사국방대학교
박사국민대학교
군 경력
소속대한민국 해군
복무 기간1989년–현재
최종 계급대장
주요 지휘 경력
현재 보직합동참모의장
이전 보직해군작전사령관
해군참모차장
해군사관학교장
제1함대사령관
해군작전사령부 해양작전본부장
세종대왕함 함장
문무대왕함 함장
양양함 함장
임관1989년
재임 기간
합참의장2023년 11월 25일 – 현재
대통령윤석열
이전 합참의장김승겸

2. 학력

3. 군 경력

김명수는 해군사관학교 졸업 후 1989년 소위로 임관하여 1함대 제11전투전대 경북함 통신관으로 군 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중위로 진급하여 1함대 108전대 합동작전지휘소 당직사관으로 복무했다. 해군 전투 발전단, 양양함 함장, 해군사관학교 훈육관, 해군교육사령부 교관, 문무대왕함 부장, 해군작전사령부 비서실장, 세종대왕함 작전관 등 다양한 보직을 거쳤다.

세종대왕함 작전관으로 복무하던 2009년 4월에는 북한의 광명성 2호 발사를 최초로 탐지했고,[3] 2012년 4월에는 세종대왕함 함장으로서 광명성 3호 발사체 탐지를 주도하여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3]

이후 합동참모본부 작전2처장, 2함대 제2해상전투단장, 해군작전사령부 해양작전본부장, 1함대사령관, 해군본부 정보작전참모부장, 해군사관학교장, 국방정보본부 해외정보부장, 국방부 국방개혁실 국방운영개혁추진관, 해군참모차장, 해군작전사령관 등 주요 직책을 역임했다.

3. 1. 주요 보직

기간직책
1989.09.~1990.06.1함대 제11전투전대 경북함 통신관
1990.06.~1992.12.1함대 108전대 합동작전지휘소 당직사관
1992.12.~1993.12.2함대 순천함 작전관
1993.12.~1994.12.2함대 201전대 기러기337정장
1994.12.~1996.09.해군작전사령부 작전참모처 연합훈련담당
1996.09.~1998.02.1함대 제11전투전대 부산함 작전관
1998.02.~1999.04.해군작전사령부 제1함대사령부 사령관실 보좌관
1999.04.~2000.11.해군전투발전단 무기체계처 해상함담당
2000.11.~2001.01.해군전투발전단 전력발전처 수상함무기체계담당
2001.01.~2002.01.제5성분전단 제52기뢰전대 양양함장
2002.01.~2003.12.해군사관학교 생도대 2대대 8중대 훈육관
2003.12.~2004.09.해군교육사령부 전투병과학교 KDX무기체계교관
2004.09.~2006.01.제5성분전단 제51대잠전대 전대본부 선임참모
2006.01.~2007.07.제5성분전단 제51기동전대 문무대왕함 부장
2006.12.~2007.07.해군작전사령부 비서실장
2007.07.~2009.12.제5성분전단 제51기동전대 세종대왕함 작전관
2010.01.~2010.06.해군작전사령부 작전참모처 해상작전과장
2010.06.~2011.01.대통령실 국가위기관리실 위기상황반장
2011.01.~2012.01.대통령실 국가위기관리실 위기관리기획담당
2012.01.~2013.12.제3대 제7기동전단 제71기동전대 세종대왕함장
2013.12.~2015.11.합동참모본부 작전2처 해상작전과장
2015.11.~2016.10.합동참모본부 작전2처장
2016.10.~2018.01.2함대 제2해상전투단장
2018.01.~2018.12.해군작전사령부 해양작전본부장
2018.12.~2019.11.제26대 1함대사령관
2019.11.~2020.05.해군본부 정보작전참모부장
2020.05.~2020.12.제55대 해군사관학교장
2020.12.~2021.12.국방정보본부 해외정보부장
2021.12.~2022.06.국방부 국방개혁실 국방운영개혁추진관
2022.06.~2022.12.해군참모차장
2022.12.~2023.10.제31대 해군작전사령관
2023.11.~제44대 합동참모의장


3. 2. 주요 업적

김명수는 해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1989년 소위로 임관하여 해군에서 복무했다. ROKS 세종대왕 (DDG-991) 작전참모 재직 중, 2009년 4월 북한의 광명성 2호 발사를 최초로 탐지하는 등 미사일 탐지 및 추적 임무를 수행하며 전문성과 기술을 활용했다.[3] 세종대왕함 함장으로 재직하면서 2012년 4월 13일 광명성 3호 발사체 탐지를 주도하여 같은 달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3]

2023년 10월 29일, 윤석열 정부의 두 번째 장성 인사에서 제독으로 진급,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 후보로 지명되었다.[5] 김명수의 합참의장 임명은 1994년 이후 처음으로 3성 장군이 합참의장에 임명된 것이며,[6] 최윤희 제독 이후 10년 만에 해군 제독이 합참의장에 임명된 것이다. 이는 조선인민군 해군의 서해 북방한계선 침범 증가에 따라 대한민국 해군력 강화의 중요성이 높아지는 시점에서 이루어졌다.[1] 김명수 제독은 2023년 11월 25일에 취임했다.[7]

3. 3. 합동참모의장 임명

2023년 10월 29일, 윤석열 정부의 두 번째 장성 인사에서 김명수는 제독으로 진급했으며, 육군 대장 김승겸의 후임으로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 후보로 지명되었다.[5] 김명수의 합참의장 임명은 이례적인 일로 평가받는데, 1994년 이후 처음으로 3성 장군이 합참의장에 임명되었고,[6] 박근혜 정부의 초대 합참의장 최윤희 제독(2013년 10월 16일 ~ 2015년 10월 7일 역임) 이후 10년 만에 해군 제독이 합참의장에 임명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김명수의 임명은 조선인민군 해군의 서해 북방한계선 침범이 증가함에 따라 대한민국 해군력 강화의 중요성이 높아지는 시점에서 이루어졌다.[1] 김명수 제독은 2023년 11월 25일에 취임했다.[7]

2024년 3월 10일, 김명수 제독은 대구의 공군 제11전투비행단에서 실시된 대한민국 공군의 방공·미사일 방어 훈련을 참관하면서, 만약의 도발 시 "압도적으로 적에게 타격을 가하라"고 지시했다. 현지 언론 보도에 따르면, 이번 방문은 한미 연합훈련인 "프리덤 실드"에 대한 대응으로 북한의 핵 미사일 시험 가능성에 대한 우려 속에서 이루어졌다.[8]

4. 진급

진급 연도계급
1989년해군 소위
1990년해군 중위
1993년해군 대위
1999년해군 소령
2006년해군 중령
2012년해군 대령
2015년해군 준장
2018년해군 소장
2022년해군 중장
2023년해군 대장


5. 수상

수상 연도상 이름
1989년대통령상 (해군사관학교 수석졸업)
2012년대통령 표창[2]


참조

[1] 웹사이트 Vice Adm. Kim Myung-soo named chair of Korea's Joint Chiefs of Staff https://www.koreaher[...]
[2] 웹사이트 Military names new JCS chief, overhauls top brass https://koreajoongan[...] 2023-10-29
[3] 웹사이트 A North Korean missile detected in 54 seconds... US-South Korean commanders also admire https://www.segye.co[...] 2012-04-30
[4] 웹사이트 Chairman of the Joint Chiefs of Staff Biography https://www.jcs.mil.[...]
[5] 웹사이트 Reshuffle of S. Korea's top military brass erases legacy of Moon's NK policies https://www.koreatim[...] 2023-10-30
[6] 웹사이트 (LEAD) Naval Operations Commander Vice Adm. Kim Myung-soo named as new JCS chairman https://en.yna.co.kr[...] 2023-10-29
[7] 웹사이트 Vice-Admiral of the Navy Kim Myung-soo was unexpectedly appointed to the position of Chairman of the Joint Chiefs of Staff, which was previously held by the captain. https://www.koreaher[...] 2023-11-29
[8] 뉴스 Top general visits Air Force missile defense center amid NK threats https://www.koreatim[...] 2024-03-1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